전체 글 (92) 썸네일형 리스트형 플랫폼 노동 혹은 긱 이코노미? 플랫폼 노동, 혹은 긱 이코노미란 일하고 싶을 때, 일하고 싶은 만큼만 일하고, 일한 만큼만 돈을 받는 것을 말한다. 쉽게 말해서 시간이 난다. -> 앱을 켠다. -> 배달을 한다 -> 돈을 받는다. -> 원할 때까지 계속 반복 -> 그만두고 싶으면 앱을 종료한다. 를 반복하는 것이다. 지면을 채우기 위해 조금 더 어려운 용어로 설명해 보자. 긱 이코노미(Gig Economy) 는 임시직 노동자 위주로 돌아가는 경제 를 말한다. 임.시.직 이라는 단어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독립적이고 일하고 싶을 때 일하는, 한 건당 계약관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경제 시스템이다. 긱 이코노미 아래에서는 노동자들이 정규직처럼 항시 대기하고 있는 형태가 아니라 본인이 하고 싶을 때, 필요할 때 노동력을 제공하는 형태다. 이를.. 배달 시작하기 일용직 노동자인 나는 퇴직금이나 실업급여와는 거리가 멀기에 출근을 하지 않으면 수입이 없다. 수입이 없으면 밥도 못 먹고 집세도 못 내는 불우이웃이 되기에, 뭐라도 할 일을 찾던 중 눈에 띄는 게 광고 문구가 있었다. 하루에 한 시간 만이라도, 시급만 오천 원 이것이 내 본업이 되지는 못할지언정, 국가의 지원 없이도 생계를 이어갈 수는 있게 해 줄 수 있으리라 믿었다. 게다가 언제든지 시작할 수 있고, 마음대로 하루 일을 끝날 수 있다는 것은 굉장한 매력으로 느껴졌다. 우리가 직장에서 퇴근 시간이 오기만을 얼마나 학수고대하며 기다리던가? 플랫폼 노동은 그냥 내가 퇴근하고 싶을 때 퇴근하면 된다는 것이다. 그래서 시작했다. 그럴듯한 단어로 표현하면 플랫폼 노동자 혹은 긱 이코노미 종사자. 현실적인 단어로는.. 이전 1 ··· 28 29 30 31 다음